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위험성 평가 법적 기준, 중소기업 위험성평가 절차, 방법

by GOREUNCLE 2024. 6. 27.

중소기업 위험성 평가

1. 위험성 평가의 법적 요구사항 및 기준

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한가?

  • 법적 요구사항: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, 사업주는 모든 작업에 대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. 법 제34조에 근거하여, 위험성 평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  • 과태료: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지 않거나 미흡할 경우, 사업주는 최대 1,0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사고 예방: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여 관리함으로써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비용 절감: 사고가 발생하면 기업은 막대한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. 위험성 평가는 이러한 비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기업 이미지 향상: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기업은 신뢰도가 높아지며, 이는 고객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

2. 위험성 평가의 절차와 방법

위험성 평가를 어떻게 진행하는가?

  • 준비 단계: 위험성 평가를 위한 팀을 구성하고 평가 범위를 설정합니다.
  • 위험 요소 식별: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 위험 요소를 파악합니다. 이는 설비, 작업 절차, 화학물질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합니다.
  • 위험 요소 분석: 각 위험 요소의 발생 가능성과 심각도를 평가합니다.
  • 위험 관리 대책 수립: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위험 요소에 대한 관리 대책을 수립합니다. 여기에는 안전 장비 도입, 작업 절차 개선, 직원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.
  • 실시 시기: 위험성 평가는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며, 새로운 작업이나 설비 도입 시, 작업 절차의 변화 시에도 추가로 실시해야 합니다.
  • 모니터링과 재평가: 위험성 평가는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재평가해야 합니다.

3. 중소기업을 위한 위험성 평가의 도전과 해결 방안

중소기업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는 데 있어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?

  • 자원 부족: 많은 중소기업은 인력과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여 위험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어렵습니다.
  • 전문성 부족: 위험성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시간 부족: 일상 업무에 바빠서 위험성 평가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해결 방안

  • 외부 전문가 활용: 전문 컨설턴트를 고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교육과 훈련: 직원들에게 위험성 평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여 내부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단계적 접근: 모든 위험 요소를 한 번에 평가하려 하지 말고,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4. 위험성 평가 기법과 종류

위험성 평가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?

  • HAZOP (위험성 및 운전성 분석): 주로 화학 공정에서 사용되며,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상의 문제를 발견하는 데 유용합니다.
  • FMEA (고장 모드 및 영향 분석): 시스템, 설비, 공정의 잠재적인 고장 모드를 식별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.
  • FTA (결함 수 분석): 특정 사건의 원인을 트리 형태로 분석하여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합니다.
  • JSA (작업 안전 분석): 각 작업 단계를 분석하여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, 이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습니다.
  • What-If 기법: 다양한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합니다.

위험성 평가 종류

  • 정성적 평가: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방법입니다.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.
  • 정량적 평가: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적으로 위험 요소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.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지만, 많은 데이터와 시간이 필요합니다.

 

이상으로 위험성 평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위험성 평가의 가장 주된 목적은 안전이라고 생각합니다.

 

대표 및 모든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유해 위험 요인을 제대로 파악하고

 

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드시길 바라겟습니다.